치료
가장 기본이 되는 치료로 갑상선을 절제하는 갑상선 절제술이 대표적입니다. 양측을 모두 절제하거나 경우에 따라 림프절을 동반 절제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 암에서는 한쪽 갑상선만 절제하는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유두상 갑상선암을 보면, 한쪽 갑상선엽에 암이 생기면 이 암덩어리가 그 자리에서 커지면서 퍼져나가기도 하지만 갑상선 안에 있는 무수한 림프관을 따라 암세포가 여기저기 눈에 보이지 않게 퍼지고 나중에는 갑상선 주위 림프절(중앙경부 림프절)로 퍼지게 됩니다. 다음 단계로 옆목 내경정맥을 따라 산재해 있는 림프절(측경부 림프절)로 퍼지고, 더 진행하면 폐, 뼈, 뇌 등으로 멀리 퍼지기도 합니다. 전체 갑상선암의 약80%가량을 차지하는 유두상암은 여포암과는 달리 암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주위 림프절로 잘 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암 덩어리만을 떼어내는 것이 아니라 그 암세포가 퍼지는 경로가 되는 림프관과 림프절, 이들을 포함한 연조직, 암이 퍼져있는 주위 조직을 넓게 절제하여 재발을 방지합니다. 여포상암은 림프절로 퍼지는 것보다는 혈관을 타고 폐, 뼈 등으로 멀리 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갑상선 주위에는 수많은 혈관, 림프관, 신경들이 복잡하게 얽혀있고, 숨을 쉬는 기도가 바로 뒤에 붙어있으며, 음식이 넘어가는 식도도 인접해 있습니다. 또 갑상선 뒷면에는 팥알보다 작은 부갑상선이 붙어있는데, 이 부갑상선은 갑상선으로 들어가는 혈액에 기생해서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갑상선 뒷면에는 또 다른 중요한 장기가 위치하고 있는데 바로 목소리를 내게 하는 성대로 가는 후두신경으로 가느다랗게 붙어서 지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이 진행하여 갑상선막을 뚫고 지나면 바로 이웃하고 있는 신경, 부갑상선, 혈관, 기도, 식도 등을 침범하여 점점 더 치료가 어려워지게 됩니다.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의 원리는 방사성요오드를 경구 섭취하면 갑상선에 높은 비율로 섭취되고, 여기에서 방출되는 β선으로 주위 조직에 영향 없이 갑상선 질환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방사성 요오드는 분화된 갑상선암(유두상 갑상선암, 여포상 갑상선암 등)에서 육안적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잔여 조직을 제거하여 암의 재발방지에 효과적임이 이미 입증되어 있습니다. 또한 분화된 갑상선암이 원격전이(폐, 뼈, 뇌, 간 등)를 보인 경우에도 방사성 요오드가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는 분화된 갑상선암 환자 중 수술을 통해 양측 갑상선의 대부분 혹은 전부를 제거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즉, 갑상선의 부분 절제수술을 시행하여 갑상선의 일부가 남은 경우에는 동위원소 치료가 불필요하며 오히려 남아있는 정상 갑상선의 기능 저하를 가져오므로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사용하는 동위 원소의 방사능 용량에 따라 저용량 치료(30mCi)와 고용량 치료(100-300mCi)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저용량 치료의 경우는 대부분 육안적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미세하게 남은 잔여 갑상선을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완전히 파괴하여 갑상선암의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초기 갑상선암의 경우 갑상선 전절제술 후 저용량 방사성 치료를 시행하며, 입원하지 않고 외래에서 약복용만 하면 되는 간단한 치료입니다. 고용량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갑상선암이 국소적으로 많이 진행된 경우 혹은 폐, 뼈, 뇌, 간 등으로 원격전이를 한 경우에 시행됩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 상태, 암의 진행 정도 및 다른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주치의와 상의 후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옳습니다. 저용량 치료와는 달리 고용량의 경우에는 방사성 요오드의 방사능이 방출되어 주위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약 2박 3일 혹은 3박 4일의 격리 병실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갑상선 호르몬 제제 중 T4제제(신지로이드, 콤지로이드) 등의 경우에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4주 이상 복용을 중지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들의 경우에는 갑상선 호르몬 제제를 T3 제제(테트로닌)로 바꾸어 2주간 사용하고 2주간 중단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물론 약의 선택은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갑상선 호르몬 제제를 복용하지 않는 이 기간 동안(2주 혹은 3주) 갑상선 호르몬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들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여러 증상들을 경한 정도부터 심한 정도까지 다양하게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점점 심해지므로 이 기간 동안은 심한 운동을 금하고, 가급적 외출도 삼가하고, 집에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것은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반응이므로 염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즉,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끝난 후 갑상선 호르몬제를 다시 복용하면 이러한 증상이 서서히 소실되어 수술 전과 다름없는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하게 됩니다. 대부분 환자분들은 미약한 체력 저하와 피로감을 호소하는 정도이지만, 일부 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입원치료까지 필요할 정도의 전신 상태의 악화를 보이므로, 본인이 견디기 힘든 정도의 불편감이 있는 경우에는 주치의나 코디네이터와 상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 저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몸이 쉽게 피곤해지고 지칩니다.
감기 몸살 기운이 계속되고 크게 호전이 없습니다.
추위에 민감하며 추위를 몹시 느낍니다.
눈꺼풀과 손발이 잘 붓습니다.
피부가 거칠어지고 건조해지며 머리카락이 쉽게 부서집니다.
몸이 무거우며 체중이 증가합니다.
졸리며 두뇌회전이 느려집니다.
변비가 생깁니다.
생리 불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우울증이 생기거나 감정의 기복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타이로젠 주사를 선택하신 경우에는 갑상선 호르몬 제제 복용 중지 기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즉, 약 복용을 중지하는 기간이 2-4주간의 장기간이 아니라 길어야 약 10일간이므로 위에서 언급한 갑상선 기능 저하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타이로젠 주사시 오심, 구토, 현기증, 두통 등의 부작용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의하여 어떤 전처치 방법을 선택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끝난 후 갑상선 호르몬 제제를 복용하게 되면 서서히 이러한 증상들이 호전되며 2주-4주 이내에 정상적으로 회복됩니다.
전신촬영은 방사성 요오드 섭취 후 약 2-7일(저용량 30mCi의 경우 2-4일)정도 지난 후 시행합니다. 이러한 전신 촬영의 목적은 잔류 갑상선 조직의 방사성 요오드 섭취 여부를 확인하고 원격전이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습니다.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하여 남아있는 갑상선 암세포의 성장을 막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하고 갑상선암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갑상선 호르몬 투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체내에 축적된 요오드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 시 복용한 동위원소가 미세하게 남은 갑상선에 흡착되어 파괴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요오드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치료 시 방사성 요오드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식사로 입원 2주 전부터 저요오드 식이를 시작합니다. 저요오드 식이는 갑상선호르몬을 중단하거나 타이로젠을 주사하는 경우 모두에 적용됩니다.
구분 | 허용식품 | 금지식품 |
---|---|---|
곡류군 |
|
|
|
||
어육류군 |
|
|
|
||
채소군·과일군 |
|
|
|
||
우유군 |
|
|
|
||
양념류 |
|
|
|
||
기타 |
|
|
|
Copyright(c) by Kangbuk Samsung hospital.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