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연초에 잦은 음주. 얼큰하게 취하더라도 집은 제대로 찾아갑시다. 음주 후 차가운 곳에서 자다간 큰 일 납니다. 추운 날씨, 찬 바람에 무방비로 노출되면 무서운 복병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안면신경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한 쪽 얼굴의 반이 마비가 되는 병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는 수 개월 후 회복이 되지만, 일부 완전히 돌아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는 구안와사, 와사풍, 구안괘사 등으로 불립니다. 흔히 '다듬이 돌을 베고 자면 입이 돌아간다.', '찬바람을 갑자기 쐬면 얼굴이 마비된다.'라고 들은 적은 있을 것입니다. 그 외에도 음주나 감기 후 과로, 스트레스, 정신적 충격 등으로, 주로 40~50대에 많던 이 병이 이제는 20~30대에도 증가하는 것입니다.
우리 몸의 신경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인체는 크게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으로 나눕니다. 두개골 내의 뇌와 척추 내의 신경은 중추신경에 속하며, 뇌에서 나오는 여러 신경을 말초신경이라고 합니다. 말초신경에는 12가지의 신경이 있습니다. 이 중 7번째인 안면신경에 이상이 오는 것을 안면신경마비라고 합니다.
말의 의미에서 느끼듯 중추신경이 훨씬 중요한 기관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말초신경이라고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안면신경은 우리의 얼굴 표정근육의 움직임을 지시합니다. 사람의 인상착의를 볼 때 가장 먼저 보는 얼굴이 마비가 된다면 어떨 지는 상상에 맡깁니다.
안면신경마비는 왜 오나요?
가장 많은 원인은 '모른다' 입니다. 안면신경마비의 50%이상이 이에 속하며, 이를 벨씨마비라고도 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동맥의 수축으로 안면신경으로 가는 혈액순환장애로 신경의 부종이 생겨, 2차적으로 신경이 압박되어 생겼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 외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는 외상, 두개골 골절, 대상포진, 종양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안면신경마비는 갑자기 찾아오는 병이라 평소 개인의 건강상태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현재 당뇨가 있거나, 가족 중 안면신경마비 환자가 있는 경우, 임신 중과 같은 상황이라면 더 조심해야 합니다. 하루 찬 바람을 쐬었다고, 감기를 좀 심하게 앓았다고 모두 안면신경마비가 오는 것은 아닙니다.
강북삼성병원 신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