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염이란?
위점막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 급성위염 : 과식이나 과음, 상한 음식의 섭취, 약물 또는 세균성 식중독, 급성 전염병 등에서 발생합니다. 상복부에 통증을 느끼면 구토, 하품, 식용부진 등과 동시에 열이 나기도 하는데 증상은 일시적이고 빠른 시일 내에 치료됩니다. 음식은 1-2일은 금식하며 물도 제한하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우유, 미음부터 시작하여 차츰 죽과 같은 무른 음식을 먹게 됩니다. 증세에 따라 단계적으로 정상 식사로 바꾸도록 합니다.
- 만성위염 :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불규칙적인 식사, 과음, 과식의 반복, 자극적인 음식섭취, 위산분비의 이상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증상은 소화불량, 식욕부진, 만복감, 상복부통증, 구토, 메스꺼움 등인데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드럽고 소화되기 쉬운 식품으로 장기간 조절해야 합니다.
위, 십이지장 궤양(소화성 궤양)이란?
위를 보호하고 있는 점막이 위산 또는 펩신에 의해 벗겨져 상처가 깊어지고 헐은 상태를 말합니다.
위장질환의 식사요법
과거에는 식사를 엄격히 제한했으나 최근에는 위산분비를 많이 하거나 위점막을 자극하는 일부 식품을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식사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1. 식사는 거르지 말고 규칙적으로 합니다.
2. 음식물은 가급적 천천히, 꼭꼭 씹어 먹습니다.
3. 통증이 심할 때에는 위에 자극을 주지 않는 부드럽고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합니다.
4. 술, 탄산음료, 카페인 음료 등은 위산과 펩신의 분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5. 겨자, 고추가루, 카레가루, 후추 등의 자극성이 있는 조미료는 상처부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6. 거친 음식, 딱딱한 음식, 말리거나 튀긴 음식은 가급적 피하며 먹더라도 잘 씹어 먹습니다.
7.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이나, 먹었을 때 속이 불편한 음식은 먹지 않도록 합니다.
8. 너무 기름이 많은 음식은 소화에 지장을 줄 수 있으나, 적당량의 기름은 위장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크게 제한하지 않습니다.
9. 밤 늦게 식사나 간식을 먹으면 위산 분비를 자극하므로 취침 2시간 전에는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합니다.
10. 흡연은 위점막을 자극시키고 궤양을 악화시키므로 금연합니다.
위하수란?
위가 정상위치보다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 어떤 사람에게 많이 생깁니까?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많습니다.선천적인 위하수는 얼굴이 창백하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에게 많으며, 후천적인 위하수는 조이는 속옷 (코르셋 등) 등으로 인해 상복부에 압박이 가해졌거나, 수술이나 위액의 손상 등으로 복부근육이 처졌을 때, 많은 축산으로 복부근육이 처졌을 때 생기기 쉽습니다.
위하수의 식사요법
1. 위에 부담을 덜기 위해 과식하는 것은 피합니다.
2. 식사는 규칙적으로 가급적 천천히 씹어 먹도록 합니다.
3. 수분이 많은 죽 보다는 밥이나 토스트를 선택합니다.
4. 쥬스나 우유 등 음료수는 식사 때 함께 마시는 것 보다는 식사 사이에 마십니다.
5. 위 근육을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단백질이 많은 부드러운 고기나 생선을 적절히 먹습니다.
6. 즐겁고 안정된 분위기에서 식사합니다.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