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수술법으로 수술합병증도 줄이고 방광천공 가능성도 제로에 가깝게
종전 요실금 수술법보다 수술합병증도 줄고 방광천공 가능성도 제로에 가까운 새로운 수술법이 개발되어 보다 안전하게 요실금 수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이교원 교수(웰빙케어링 센터장)는 수정, 보완된 요실금 수술법인 Canal TOT 수술법이 요실금 수술의 합병증을 더 줄일 수 있다고 미국 비뇨기과 학회지(The Journal of Urology) 최신호(2009년 6월호)를 통해 밝혔다.
요실금 수술의 원리는 바닥이 푹신한 면 위에서 호스를 밟았을 때는 물이 조금씩 흘러나오나 단단한 시멘트 바닥 위에서 호스를 밟았을 때는 전혀 물이 세지 않는 것처럼, 요도 밑에 망사 테이프 구조물을 넣어 요도 밑 인대를 강화하여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요실금 수술법도 1세대 개복수술에서 2세대 TVT수술, 그리고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세대 TOT수술로 진화해 왔다. 수술법이 진화해 오면서 각종 수술합병증과 방광천공 가능성도 줄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는 TOT수술법의 경우도 방광 천공 가능성이 0.4%로 보고되고 있고, 수술 후 배뇨장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Canal TOT(커넬 티오티)수술법은 미국 UCLA의대에서 시행중인 DUPS(Distal Urethral Polypropylene Sling : 원위부 요도하 폴리프로필렌 슬링술) 수술법과 기존의 TOT 수술법을 접목시켜서 이교원 교수가 고안해낸 수정, 보완된 수술법으로 질 양쪽에 비스듬한 절개를 2개를 만들고 그 사이를 터널(Canal)을 만들어 망사모양의 무장력 테이프를 넣고, 골반 상단에 구멍을 내어 갈고리를 이용해 테이프를 빼내 테이프가 요도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종전 TOT 방식의 경우 질 중앙에 1개 부분만 절개 하며, 절개 면으로 손가락을 넣어 테이프를 골반 상단으로 빼내는 갈고리를 유도할 때 손가락 끝과 갈고리 끝 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였다. 이 공간에 방광이 처질 경우 갈고리를 질 절개 면으로 유도하다 방광을 천공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Canal TOT의 경우 갈고리 유도하는 손가락 끝이 골반 상단부분까지 닿아서 이전 TOT 방식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수술 부위까지 집도의가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방광 천공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기존 TOT 수술법은 1개의 절개 면으로 테이프의 장력을 조정하다 보니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게 해서 수술 후 배뇨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Canal TOT 수술의 경우 2개의 절개 면으로 테이프의 장력을 조정하여 이전보다 수술 후 배뇨 장애 문제 발생을 낮출 수 있었다.
Canal TOT 수술법
a.질의 양쪽 부분을 비스듬하게 절개
(종전 TOT는 질 중앙에 1개 부분만 절개)
b.절개면 사이에 터널(Canal)을 만듬.
c.만들어진 터널(Canal)사이로 망사 모양의 무장력 테이프를 넣음.
d.테이프가 요도를 수평으로 받칠 수 있도록 갈고리(ⓐ)를 골반 상단 부분(ⓑ)에 넣어서 테이프를 꺼냄. 이때 질 절개 면에 손가락을 넣어서 손가락 끝이 갈고리 끝과 맞닿아(ⓑ) 갈고리를 안전하게 절개 면으로 유도.
(종전 TOT수술법의 경우 중앙에 절개를 하기 때문에 절개 부분과 골반 상단 부분까지 폭이 넓어 손가락으로 확인할 수 없는 공감이 생김. 이 빈 공간 사이로 방광이 처져 있는 경우 갈고리를 삽입하다 방광이 천공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0.4%.))
e.유도된 갈고리가 질 절개 면으로 나오면 테이프 끝을 묶어 다시 갈고리를 빼냄.
f.골반 상단 부분에 나온 테이프를 적당하게 당겨서 장력을 조정 후 절단하여 마무리 함.
(TOT 수술법의 경우 절개 부분 하나로만 장력을 조정하여 수술 후 배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Canal TOT의 경우 양쪽 절개부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수술 후 배변 문제 발생이 낮음.)
이교원 교수는 “기존의 TOT 수술법 시행 시 질 관련 수술 경력이 있는 환자나 방광류를 가진 환자, 비만인 환자는 방광이 처지는 경우가 많아 방광 천공의 가능성이 있었으나 Canal TOT수술법을 시행하면 방광 천공의 가능성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강북 삼성병원 요실금 클리닉에서 시술한 200여건의 수술을 Canal TOT 방법으로 시행하여 단 한건의 방광천공 및 배뇨 장애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교원 교수는 2003년 ~ 2004년 동안 교환교수로 미국 UCLA의대 여성비뇨기과에서 요실금 분야를 연수한 후 귀국하였으며, 웰빙케어링센터를 설립하여 여성요실금 환자들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면서 생긴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성과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