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담낭 절제술 받은 2,239명 조사 결과 콜레스테롤 담석 증가, 색소성 담석은 감소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많은 질환들이 서구형으로 변화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혈관질환과 대장 및 유방질환. 뇌혈관질환은 이젠 출혈성보다 뇌혈관이 막히는 허혈성질환이 증가하고 대장암과 유방암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제는 담낭질환도 이 대열에 들어간 것이 확인되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외과 신준호 교수가 최근 15년간 복강경 담낭절제술 환자를 분석한 결과 서구형식사와 관련된 콜레스테롤에 의한 담석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콜레스테롤에 의한 담석 68%에서 78%로 증가
신준호 교수는 1993년부터 2007년까지 15년간 강북삼성병원에서 담낭질환으로 복강경 수술을 받은 2,239명의 환자를 시기별로 3단계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1기(1993~1997년)에는 콜레스테롤에 의한 담석이 68%였으나 3기(2003~2007년)에는 78%로 1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 담석환자 중 콜레스테롤에 의한 담석비율이 1기에는 68.2%를 차지했으나 2기(1998~2002년)에는 72.5%로 3기에는 78.3%로 점차 증가한 반면 담석의 주 성분이 다른 색소성 담석의 경우는 1기에는 31.5%, 2기에는 27.5%, 3기에는 21.7%로 시간이 지날수록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콜레스테롤 담석이 80~90%를 차지하는 미국이나 서구의 경우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담석도 점차 서구형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담석이외의 담낭질환을 질환을 살펴보면 담낭용종은 1기 12명(3.3%)에서, 2기 30명(5.1%), 3기 151(11.8%) 명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낭암은 1군 2명, 2군 3명, 3군 20명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1 참조)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신준호 외과 교수는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 검진의 증가로 인해 담낭질환 진단 환자가 크게 증가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콜레스테롤 담석 증가에 대해서는 “ 우리식단이 점차 서구형으로 바뀌고 콜레스테롤 섭취 증가로 인한 비만 인구가 증가 및 평균 연령 증가 등이 콜레스테롤 담석이 증가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생각되고 향후 콜레스테롤 담석은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밝혔다.
담석은 담낭 내에 있는 담즙 성분의 일부가 굳어져 담관이나 담낭 내에 생기는 돌을 말하여 돌이 생긴 부위에 따라 간내 담석, 담관 담석, 담낭 담석으로 구분한다. 담석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나누면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으로 구분된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주성분이 콜레스테롤에 의해 생기는 담석이며 색소성 담석은 기생충 감염이나 세균 감염 등 주로 염증 반응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석증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녀를 많이 출산한 여성, 중년 혹은 고령자, 비만인 사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 폭음이나 폭식이 잦은 사람에게서도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석증으로 인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배꼽을 중심으로 우측 위쪽 복부에 아주 심한 통증이 오며, 이 통증은 수분동안 또는 몇 시간씩 계속되며 하루에 몇 차례씩 혹은 1년에 몇 차례씩 반복되기도 한다. 복통 이외에의 증상으로는 구토, 오한, 발열, 식은땀, 오심 등이 생길 수 있고 드물게는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담석증을 예방하려면 우리 몸에 담즙산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양의 식사를 하는 규칙적인 식습관이 중요하다. 지나치게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과식하거나 다이어트를 위해 식사를 거르는 경우 소화를 위해 분비되는 담즙의 구성 성분에 불균형이 생겨 담석이 생기기 쉬우므로 식사시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콜레스테롤 수치를 억제 시키는 식물성 섬유가 많이 든 곡류, 야채류, 과일류 등을 골고루 섭취하고 비만 예방을 위해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것도 담석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담석증의 치료는 약물 요법과 수술 요법을 사용하는데 약물 요법은 환자에게 부담이 적으나 근본적인 치료는 되지 못하고 증상만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내시경과 복강경 수술의 발달로 수술적 치료가 많이 시행되고 있는데 수술적 치료는 담석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담도에 발생한 담석은 크기가 크지 않다면 내시경을 이용해 담석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고 담낭에 발생한 담석의 경우는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을 제거하는 복강경 담낭 절제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